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세계 문학 학습 방향은?
(1) 세계 문학이 다루어지기 힘든 이유 https://woolf29.tistory.com/10
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세계 문학 학습 방향은? - (1) 세계 문학이 다루어지기 힘든 이유
세계 문학 역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공교육 기간 동안 체계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이것은 단순히 책을 펴고 읽으면서 가볍게 즐길 거리라고 보기 힘들고 여러 번의
woolf29.tistory.com
(2) 감상의 폭이 다양해지고 넓어지는 방향으로 https://woolf29.tistory.com/11
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세계 문학 학습 방향은? - (2) 감상의 폭이 다양해지고 넓어지는 방향으로
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세계 문학 학습 방향은? (1) 세계 문학이 다루어지기 힘든 이유 https://woolf29.tistory.com/10 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세계 문학 학습 방향은? (1) - 세계 문학이 다루어지기 힘든
woolf29.tistory.com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세계 문학을 탐구해 온 학생들은 과연 대학에서 어떤 효과를 보게 될까? 문학 관련 학과와 그 외의 다른 학과로 나누어 기대해 볼 수 있다.
우선 전자는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러시아어문학과 등으로 분류된다. 그 학과들의 문학 분야의 강의와 세미나는 작품 한두 편을 읽으며 예습을 해 와야 함을 전제로 진행된다. 이전부터 미리 해당 작품들을 읽어왔다면 그 상황에서는 어떤 관점으로 그것들이 해석될 것인가를 예상하고, 개강 주간에 처음 읽는 작품이 소개된다면 이전에 읽었던 것 중에서 같은 주제를 다룬 건 어떤 것이 있을까에 관해 돌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학생들은 능동적이고 준비된 자세로 자신들의 생각을 펼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특정 외국어를 배우려고 그 관련 학과에 갈 거라는 생각도 개선될 것이다.
한편, 후자는 사학과나 철학과 등의 다른 인문계열 학과나 사회학과, 경제학과, 정치학과 등의 사회과학계열 학과, 그리고 물리학과, 생물학과, 천문학과 등의 자연과학계열 학과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전부터 읽어온 작품들을 통해 다른 사회 문제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가지거나 과학적 상상력을 얻게 된 학생들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문학을 통해 인접 학문과 이공계열 학문에서도 융합적인 사고를 발휘할 것 같다.
앞으로는 국어 과목을 넘어서는 문학 수업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한 작품을 감상하더라도 각자 다양한 의견들을 원 없이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단순히 문학 작품을 읽는 데 그치지 않고 다른 주제로도 연결된 학습이 이어지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러한 것들이 수능을 넘어서는 더 소중한 가치로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만화 『보물찾기 시리즈』에서 다루어지기를 바라는 주제들 - (1) 세계의 철학자들, 12간지 (0) | 2021.06.27 |
---|---|
초등학교에서 철학을 다루면 중학교 이후 외국어 학습에서 볼 수 있는 효과 (0) | 2021.06.20 |
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세계 문학 학습 방향은? - (2) 감상의 폭이 다양해지고 넓어지는 방향으로 (0) | 2021.06.01 |
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세계 문학 학습 방향은? - (1) 세계 문학이 다루어지기 힘든 이유 (0) | 2021.05.31 |
인도가 세계를 주도하는 나라가 되기 위해서 준비해야 할 것들 (0) | 2021.05.13 |